본문 바로가기

4. 복지제도13

국민행복카드 임신바우처 사용처 정리(병원, 약국, 예방접종 등) 임신하면 국민행복카드를 만들어야 하고 거기에 포인트로 임신바우처가 나옵니다. 그 사용처에 대해 궁금하실 텐데요.제가 임신했을 때와 많이 달라진 정책이라 자세히 찾아봤습니다. 많은 혜택들도 생겼네요. 1. 국민행복카드, 임신바우처 포인트 정말 다 사용할 수 있는 걸까?임신 소식을 들은 기쁨도 잠시, 병원 진료부터 예방접종, 영양제 구입까지 생각보다 많은 비용이 드는 현실에 당황하는 임산부들이 많습니다. 이런 부담을 덜기 위해 정부에서는 ‘국민행복카드’라는 임신·출산 관련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임산부들이 궁금해하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국민행복카드로 가다실(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을 맞을 수 있나요?”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국민행복카드의 구조와 임신바우처의 실제 사용처, 그리고 가다실을 포함.. 2025. 5. 2.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 대상 지원가맹점 신청하는 방법 출산 산모에게 소득에 관계없이 산후조리비용을 지원하여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산모의 건강한 산후 회복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3년 9월부터 시행되었고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합니다.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내용2023년 9월 1일부터 출생하는 아이를 대상으로 산후조리경비를 지원합니다.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산모로 출생아가 서울시에 출생신고를 해야 합니다. 임신 16주 이후에 발생한 유산과 사산의 경우에도 지원합니다. (의사소견서 첨부) 지급하는 방식은 산모명의 신용(체트)카드에 100만 원을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합니다. 단테아는 100만원, 쌍태아는 200만원, 삼태아는 300만원입니다. *협약 신용카드사(본인명의 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바우처 지급이 가능): 신한(국민행복카드), 삼성, KB.. 2024. 12. 17.
임산부·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 안내 이용절차 소득기준 영양상태가 취약한 대상에게 영양섭취상태의 개선을 위해 영양교육과 특정식품들을 일정 기간 동안 지원하는 영양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저도 임신 중에 그리고 아이가 태어나고 나서 지원을 받았었는데요. 매년 대상자 기준과 소득기준이 조금씩 바뀌니 잘 알아보시고 이용해보셨으면 합니다.  - 목차 -1. 영양플러스 사업 내용2.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3. 영양플러스 사업 이용절차   영양플러스 사업 내용- 영양상담 및 교육, 매월 식품공급, 주기적 건강상태 평가- 6개월 참여 후 영양상태 재평가 경과에 따라 자격종료 또는 유지 결정 저도 임신부일때 영양플러스로 여러 가지 식품들을 받았었는데요. 임신부일 때와 출산하고 수유부일 때, 식품들이 조금씩은 달랐었었어요.구분식품패키지별 해당식품0-5개월 영아혼합 및 조제.. 2024. 11. 28.
다둥이 행복카드 발급안내 신청혜택 사용처 다둥이 카드가 있는지 알았지만, 어떻게 사용하는지 발급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지는 않았는데, 최근에 다둥이 카드로 할인받을 수 있는 경험을 하면서 자세히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다둥이 행복카드에 대해 알아보고,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1. 다둥이카드란? (발급대상)2. 다둥이카드 신청방법3. 다둥이카드 사용처, 카드혜택  다둥이카드란 (발급대상)서울특별시에 거주 중인 다둥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님들은 행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일 현재 만 19세 이상으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2자녀 이상 가정 중, 막내가 18세 이하인 가정이면 발급대상이 됩니다. 처음에 다둥이 카드가 생겼을 때는 기억에는 3자녀 이상으로 알고 있는데, 이제는 2자녀여도 발급 가능하더라고요. 굳굳  .. 2024. 10. 28.
기저귀·조제 분유 지원 사업 안내 신청방법 제출서류 (기준중위소득 80%) -목차- 1.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내용 2.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대상 3.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신청방법, 제출서류 4.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신한기한 5.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기준중위소득 80% 판정기준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내용2세 미만의 영아(0-24개월)에 최대 24개월 동안 지원하여 가정의 육아 필수재인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담 경감 및 아이 낳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입니다. 기저귀 지원내용기저귀 구매비용 정액 월 9만원 지원조제분유 지원내용조제분유 및 이유식 구매 비용 정액 월 11만 원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대상기저귀 지원대상만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아래 가구 대상으로 영아별로 지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생.. 2024. 10. 16.
[강동구] 임신·출산 지원 서비스 안내 (산후조리경비지원, 냉동난자지원, 35세 이상 임산부 지원) 강동구에서는 구민의 건강한 임신, 출산, 양육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강동구 보건소는 9월부터 서울형 산후조리 경비 이용장벽이 낮아져 임신, 양육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어들 예정입니다. 목차1.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2. 냉동난자 보조생식술 비용 지원3.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관내 출산 산모에게 소득에 관계 없이 산후조리비용을 지원하여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산모의 건강한 산후 회복을 지원하고자 하는 서비스입니다.  ■ 시행 : 2023년 9월 1일  ■ 대상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산모 (출생아 서울시 출생신고)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 사산의 경우에도 지원 (의사소견서 등 첨부) ■ 지원방식 :산모명의 신용(체크)카드에.. 2024.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