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가족 모임에서 식당에 갔다가 둘째 아이가 제 그릇에 부딪혀서 눈 옆이 찢어지는 사고가 있었어요.
식당에서 뛰지 말라고 했지만, 결국 뛰던 아이가 사고를 당하고 말았네요.
피는 많이 나지 않았지만 상처가 제법 깊어서 병원으로 바로 갔습니다.
창상봉합술(변연절제 포함)이란?
외상으로 인한 열린 상처를 치료하는 수술입니다.
상처 부위에서 손상되거나 오염된 조직을 잘라내고 상처를 봉합하는 방식인데,
변연절제술은 상처 주변의 불필요한 조직을 제거해 감염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눈 옆 상처 진료
아이가 얼굴에 상처를 입었을 때는 무조건 성형외과를 찾아야 합니다.
아이의 얼굴은 금방 회복되지만,
피부가 여려 흉터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성형외과에서 세심하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냥 외과에서 치료를 받으면 울퉁불퉁한 흉터가 남을 수 있다는 후기도 있더라고요.
응급실에 가려고 했으나
최근 의료 파업 때문에 응급실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해서,
늦게까지 진료하는 성형외과를 찾아갔습니다.
토요일 저녁인데도 아이들이 많더라고요.
눈 옆에 찢어진 상처가 눈이 아니고 바로 옆이라 정말 다행이었어요.
의사는 즉시 봉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시더라고요.
하지만 아이는 수면마취를 해야 한다고 해서 당장 수술을 못했어요.
수면마취를 하려면 최소 6시간 금식이 필요하다 해서 그 담날로 미뤄졌어요.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6살 정도라면 참을 수 있다면 부분마취도 가능했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우리 아이는 주사기조차 겁내고 병원에 대한 두려움이 커서 수면마취를 선택했습니다.
수면마취와 수술 비용은 병원마다 차이가 있는데,
마취비용은 약 19만 원, 1cm를 봉합하는 수술비용은 30만 원이고
1cm마다 10만 원씩 추가된다고 했습니다.
수술 시 주의사항
수술은 오전에 예약되어 있었고, 가장 중요한 것은 금식이었습니다.
아침에 아이는 물도 못 마시고 배고프다며 힘들어했어요.
병원에서 수면마취를 무서워하는 아이는 울고불고하기도 했지만,
주사를 맞고 나서 바로 잠들었고, 수술은 10분도 안 걸렸습니다.
수술이 끝난 후 약 2시간 정도 회복실에서 기다리며 아이가 깨기를 기다렸습니다.
2시간 후에 아이가 약간 움직이며 깨어나기 시작했어요.
수면마취 후 관리 방법
수면마취 후 아이가 깨어난 뒤에는 빈속에서 위산까지 나오는 구토 증상이 있었습니다.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 설명 들었기에 크게 놀라지는 않았는데,
거의 저녁까지 아무것도 못 먹더라고요.
그 모습을 보니 걱정이 되었지만, 결국 별일 없이 지나갔습니다.
상처는 매일 식염수로 닦아주고,
메디폼으로 매일 붙여줬어요.
그러고 일주일 뒤에 실밥을 풀었습니다.
병원에서는 레이저 치료도 가능하다고 했지만,
흉터가 걱정되어도 레이저는 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실밥을 풀 때 연고와 의료용 테이프도 함께 처방받았는데, 가격이 꽤 나갔습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자외선 차단을 해주는 게 중요해요.
선크림 아이용을 발라줘야 합니다.
창상봉합술(변연절제 포함) 실비보험 청구
보험사마다 다르지만, 중요한 것은 진단 코드입니다.
'창상봉합술'만 들어가면 수술비와 진단비를 보상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변연절제'라는 코드가 들어가야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는 수술확인서와 진료비계산서, 진료비세부내역서, 처방전을 발급받아 보험 청구를 했는데,
비급여 항목이 많아서 세부 내역서를 꼭 발급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시 한번, 진단명에서 'S011(변연절제)'가 포함된 걸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험금 청구 결과
보험사마다 지급액에 차이가 있겠지만,
저는 수술비와 마취주사비용(비급여), 약값 등을 포함해 총 약 50만 원이 발생했고,
보험금으로 약 36만 원 정도를 지급받았습니다.
또한, 수술비 진단금도 추가로 지급받았습니다.
진단금은 보험사별로 다를 수 있어서 언급은 안 할게요.
아이에게 다치지 않도록 조심히 살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앞으로 더욱 신경 써서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해야겠어요.
다행히 큰 사고는 아니어서 정말 감사할 뿐입니다.
이상으로, 창상봉합술(변연절제 포함)을 받은 후 보험금 청구에 대한 후기를 마칩니다.
'2.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해킹사고] 유심보호서비스 통신사별 설정법(feat.LG U+ 엘지) (0) | 2025.05.02 |
---|---|
신용회복위원회 소액대출 대출상품 알아보기 (2) | 2025.04.28 |
공동 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발급하는 방법 (0) | 2025.04.28 |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연결했는데 검색에 tistory가 붙는 이유 (해결방법) (0) | 2025.04.26 |
2026년 국민연금의 변화, 20대의 불안과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할까? (0) | 2025.04.25 |